( 1 ) 기관
1. 4행정 : 흡입-압축-폭발-배기
2. 디젤의 장단점
1) 열효율이 높다.
2) 기화점이 높아 화재위험 적다.
3) 연료소비율 낮고 기관출력당 무게가 무겁다.
4) 소음, 진동이 크다
3. 흡배기 밸브 구비조건
1) 열전도율이 좋을것
2) 열에 대한 팽창율 적을것
3) 열에 대한 저항력 클것
4) 고온 고압에 잘견딜 것
4. 기관과열의 주요원인
1) 리디에이터 코어의 막힘
2) 냉각장치 내부의 물때과다
3) 냉각수의 부족
4) 엔진오일량 부족
5. 디젤기관에서 배출가스 색 구별
1) 정상일때 : 무색 또는 담청색
2) 에어클리너가 막혔을 때 : 검은 색
3) 엔진오일이 유입되었을 때 : 회백색
6. 디젤기관에서 노킹을 일으키는 원인
1) 연료분사 압력이 낮을 때
2) 착화지연기간이 길 때
3) 착화 중 분사량이 많을 때
4) 연소실에 누적된 많은 양의 연료가 일시에 연소할 때
7. 디젤엔진에 사용되는 과흡기(터보차져)의 역할
실린더 내의 흡입 공기량을 증가시켜 출력을 증대시킨다.
8. 기관에서 윤활유 사용목적
1) 마찰을 적게 한다.
2) 냉각작용을 한다.
3) 실린더 내의 밀봉 작용을 한다.
9. 기관의 점화방식
1) 디젤엔진 : 압축된 공기에 연료를 분사하는 압축 착화 방식
2) 가솔린 엔진 :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불꽃(스파크)으로 점화하는 불꽃 점화 방식
10. 연료의 착화성을 표시하는 지표
1) 경유 : 세탄가 2) 휘발유 : 옥탄가
11. 유압회로 관련 밸브 종류
1) 릴리프 밸브 : 유압회로에 흐르는 압력을 일정하게 하거나 설정 압력 이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
2) 시퀸스 밸브 : 엑츄에이터의 작동순서를 제어하는 밸브
3) 카운터 밸런스 밸브 : 한쪽방향 흐름에 배압을 발생시켜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밸브
12. 클러치 라이닝의 구비조건
1) 내마멸성, 내열성이 클 것
2) 알맞은 마찰계수를 갖출 것
3)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을 것
4) 내식성이 클것
13. 유압유가 과열되는 원인
1) 릴리프 밸브(Relief valve)가 닫힌 상태로 고장일 때
2) 오일 냉각기의 냉각관이 오손 되었을 때
3) 유압유가 부족할 때
14. 디젤기관 연료장치의 분사펌프에서 프라이밍 펌프의 역할
엔진이 정지시 연료분사펌프까지 연료공급하거나 연료라인 내의 공기 빼기에 사용
15. 디젤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원인
1) 분사시기의 불균형
2) 분사량의 불균형
3) 분사압력의 불균형
16. 엔진오일이 많이 소비되는 원인
1) 피스톤링의 마모가 심할 때
2) 실린더의 마모가 심할 때
3) 밸브가이드의 마모가 심할 때
17. 기관출력을 저하시키는 원인
1) 연료 분사량이 적을 때
2) 노킹이 일어날 때
3) 실린더 내의 압축압력이 낮을 때
18. 자동변속기의 과열 원인
1) 메인 압력이 높을 때
2) 과부하 운전을 계속할 때
3) 오일 수준이 낮을 때
4) 변속기 오일 쿨러가 막혔을 때
19. 파스칼의 원리
밀폐된 공간에서 유체일부에 압력을 가할 때 압력이 유체 내의 모든 면에 수직으로 같은 크기로 전달된다는 원리
20. 유압자동유의 점도 높을 때 발생되는 현상
1) 동력손실 증가 2) 유압이 증가
3) 유압유 온도 상승
21. 압력의 단위
1) kgf/cm2 2)psi 3) bar
22. 기관 방열기에 연결된 보조탱크의 역할
1) 냉각수의 체적 팽창을 흡수한다.
2) 장기간 냉각수 보충이 필요 없다.
3) 오버플로(overflow) 되어되 증기만 방출된다.
23. 엔진에서 오일의 온도가 상승되는 원인
1) 과부하 상태에서 연속작업
2) 오일 냉각기의 불량
3) 오일 점도가 부적당할 때
4) 유량의 부족
24. 디젤엔진의 연료탱크에서 분사노즐까지 연료의 순환순서
연료탱크- 연료 공급 펌프- 연료필터 - 분사펌프- 분사노즐
25. 일반적으로 디젤기관에서 흡입공기 압축시 압축 온도 : 500~550도씨
26. 오일의 여과 방식
1) 분류식 2) 전류식 3) 산트식
27. 동력을 전달하는 계통의 순서
피스톤- 커넥팅로드- 크랭크축- 클러치
28. 유압실린더를 교환한 후 우선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사항
엔진을 저속 공회전 시킨 후 공기 빼기 작업을 실시한다.
29. 채터링(chattering)현상
릴리프 밸브에서 볼(ball)이 밸브의 시트(seat)를 때려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
30. 유성기어 장치의 주요부품
선기어, 유성기어, 링기어, 유성 캐리어
31. 유압모터중 기어형 모터 장단점
1) 구조가 간단하다. 2) 가격이 저렴하다. 3) 고장이 적다. 4) 피스톤 링 대비 효율이 낮다.
32. 일반적으로 오일(유압) 탱크의 구성품
1) 스트레이너 : 불순물 여과
2) 배플 : 기포 분리 및 제지
3) 드레인 플러그 : 오일을 전부 배출할 때 사용
33. 축압기(어큐물레이터)의 용도
1) 유압 에너지의 저장 2) 충격흡수
3) 비상시 보조 유압원으로 사용 4) 압력보상
34. 건설기계에 사용되는 유압펌프의 종류
1) 기어펌프 : 정용량, 간단, 저렴, 효율 낮음
2) 베인펌프 : 소형, 경량, 소음과 맥동이 적음
3) 플린저펌프 : 고압, 고효율, 가변용량
35. 점도지수
1) 유압오일에서 온도에 따른 점도변화의 정도를 표시하는 것
2) 점도변화가 작을수록 점도지수는 크다.
3) 유압오일의 구비조건에서 점도지수는 클 것
36. 밸브간극
밸브스템 엔드와 로커암(태핏) 사이의 간극을 말하며 간격이 크면 정상온도에서 밸브가 확실하게 닫히지 않고 소음발생, 출력저하, 스템엔드부의 찌그러짐 발생
37. 실린더가 마모되면 나타나는 현상
1) 출력의 감소 2) 크랭크실의 윤활유 오손
3) 불완전 연소
38. 건설기계 기관에서 사용되는 윤활유의 주요기능
1) 기밀작용 2) 방청작용 3) 냉각작용
39. 동력전달장치에 사용되는 차동 기어 장치
1) 선회할 때 좌우 구동바퀴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한다.
2) 선회할 때 바깥쪽 바퀴의 회전속도를 증대시킨다.
3) 보통 차동 기어장치는 노면의 저항을 작게 받는 구동바퀴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될 수 있다.
40. 타이어의 구조
1) 카커스(carcas) : 고무로 피복된 코드를 여러겹 겹친 층에 해당 되며 타이어 골격을 이루는 부분
2) 트레드(tread) : 노면과 접촉되는 부분, 견인력을 증대, 미끄럼 방지, 열발산을 한다.
41. 제동장치 이상 현상
1) 베이퍼록 : 과도한 브레이크 조작으로 브레이크액에 기포 발생
2) 페이드 : 과도한 브레이크 조작으로 드럼과 라이닝의 열로 인한 마찰계수 감소
* 예방 : 엔진 브레이크 사용(내리막길)
42. 타이어식 건설기계 정비에서 토인에 대한 설명
1) 토인은 좌.우 앞바퀴의 간격이 뒤보다 앞이 좁은 것이다.
2) 토인은 작전성을 좋게 하고 조향을 가볍도록한다.
3) 토인은 반드시 직진상태에서 측정해야 한다.
4) 토인 조정이 잘못되었을 때 타이어가 편마모된다.
43. 건설기계에서 시동 전동기가 회전이 안될 경우 점검사항
1) 축전지의 방전 여부 2) 배터리 단자의 접촉여부
3) 배선의 단선 여부
44. 전조등 형식
1) 쉴드빔식 : 밀폐형 구조로 전조등 일체교환
2) 세미실드빔식 : 전구만 따로 교환
45. 발전기에서 전기(전류)가 발생되는 곳
1) 교류발전기 : 스테이터 2) 직류발전기 : 전기자
46. 축전지 급속 충전시 주의사항
1)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한다.
2) 충전 중인 축전지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3) 전해액 온도가 45도씨를 넘지 않도록 특별히 유지한다.
47. AC발전기에서 다이오드의 역할
교류를 정류하고 역류를 방지
48. MF(Maintenance free) 축전지
1) 격자의 재질은 납과 칼슘합금이다.
2) 무보수용 배터리이다.
3) 밀봉 촉매 마개를 사용한다.
4) 수명이 다할 때까지 전해액 보충이 필요없다.
49. 납산 축전지
1) 12V 납축전지는 6개윽 쉘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 1셀의 전압은 2~2.2V
3) 직렬로 연결하면 용량은 변화없고 전압은 2배
4) 병렬로 연결하면 용량은 2배, 전압은 변화없음
50. 축전지 교체시 연결 순서
제거시 : - 케이블 제거 후 +케이블 제거
연결시 : +케이블 연결 후 -케이블 연결
2장 법규
1. 산업 안전보건에서 안전표지의 종류
1) 금지표시 2) 경고표시 3)지시표시 4)안내표시
2. 산업재해 분류
1) 무상해 : 응급처치 이하의 상처로 일에 종사하면서 치료가능 상태
2) 경상해 : 노동상실 기간이 1일 이상 7일 이하
3) 중경상 : 노동 상실 기간이 8일 이상
4) 사망 : 업무로 인해 목숨을 잃는 경우
3. 장갑을 착용하면 안되는 작업
해머작업, 드릴작업, 연삭작업, 정밀기계작업
4. 공구사용시 주의사항
1) 스페너 사용시 앞으로 당길 때 힘이 걸리도록 한다.
2) 해머작업 시작시 작은 힘으로 타격하고 점검 강도를 높인다.
3) 열처리 된 금속은 해머로 때리지 않는다.
5. 연소의 3요소
1) 가연성 물질 2) 점화원 3) 산소
6. 화재분류
1) A급 화재: 일반 가연성 화재(포말 소화기, 물적합)
2) B급 화재: 유류 화재(분말 소화기가 적합)
3) C급 화재: 전기화재(이산화탄소 소화기 적합)
4) D급 화재: 금속화재(마른 모래 적합)
7. 3방향 도로명표지(차량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진행할 때)
<- 서울역 ♤경복궁 시청->
<-이순신로 9세종대왕로->
1) 도로구간의 시작과 끝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설정
2) 차량을 우회전하면 세종대왕로 도로구간의 시작점에 진입할 수 있다.
3) 차량을 좌회전하면 이순신로 도로구간의 끝지점에 진입할 수 있다.
8. 이상기후시 도로구간의 끝지점에 진입할 수 있다.
1) 20%감속 : 노면 젖거나 눈 20mm미만
2) 50%감속 : 노면 얼거나 눈 20mm이상 가시거리 100m이내
9. 주정차 금지구역
1) 5m이내 : 교차로나 도로 모퉁이
2) 10m이내 : 안전지대, 버스정류장, 건널목
10. 주차 금지구역
1) 5m이내 : 소화, 경보, 피난설비
2) 터널안 또는 다리위
11. 도로교통법상에서 교통안전표지의 구분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노면표지
12. 1종 대형 운전면허로 운전할 수 있는 건설기계
1) 덤프트럭, 트럭적재식 천공기
2) 콘크리트믹스 트럭, 콘크리트 펌프카
3) 노상안정기, 아스팔트 살포기
13. 건설기계관리 법정상 건설기계의 기호표시
01.불도져 02. 굴삭기 03. 로우더 04.지게차 05. 스크레이퍼(불굴로지스) 총27종(26종및 특수건설기계)
14. 건설기계 등록의 말소 사유
1) 건설기계가 수출, 멸실, 도난되었을 때
2)건설기계가 거짓이나 부정한방법으로 등록했을때
3) 건설기계가 교육, 연구 목적으로 사용할 때
4) 건설기계의 차대가 등록시의 차대와 다를 때
15. 건설기계가 출장검사를 받을 수 있는 경우
1) 너비가 2.5m초과인 경우
2) 최고속도가 35km/h 미만인 경우
3) 차체중량이 40톤 초과 또는 축중량이 10톤을 초과하는 경우
4) 당해 검사를 받을 건설 기계가 도서지역에 있는 경우
16. 대형 건설기계 특별 표지판 부착
1) 너비 2.5m 초과 또는 높이 4미터 초과
2) 길이 16.7미터 초과
3) 최소 회전 반경 12미터 초과
4) 총중량 40톤 초과 또는 축하중10톤 초과
17. 건설기계조종사 면허의 취소, 정지사유
1) 부정한 방법으로 조종사 면허를 받은 때
2) 심신장애
3) 고의 또는 과실로 건설기계에 중대한 사고를 발생케 한 때
18. 등록사항의 변경 또는 등록이전 신고 대상
1) 소유자 변경 2) 소유자의 주소지 변경
3) 건설기계의 사용본거지 변경
19. 건설기계 사업종류
1) 건설기계 매매업 2) 건설기계 대여업 3) 건설기계 정비업 4) 건설기계 폐기업
20. 건설기계 정비업 종류
1) 종합건설기계 정비업 2) 부분 건설기계 정비업
3) 전문 건설기계 정비업
21. 건설기계등록 번호표의 색칠기준
1)영업용-주황색 2) 자가용-녹색판에 흰색문자
3) 관용-흰색판에 검은색 문자 4) 임시운행용- 흰색목판에 검은색 문자
22. 건설기계 검사 종류
1) 신규등록검사 2) 정기검사 3) 수시검사 4) 구조변경 검사
23. 건설기계의 임시 운행 사유
1)등록 신청 2) 신규등록 검사 3) 수출 또는 시험 연구 목적 4) 일시적 판매전시
24. 건설기계 정기 검사 유효기간
1) 1년 : 타이어식 굴착기, 기중기, 덤프트럭, 콘크리트 믹서트럭
2) 2년 : 타이어식 로더, 지게차(1톤 이상)
3) 3년 : 무한궤도식 굴착기
25. 건설기계의 구조 변경 범위
1) 건설기계의 길이, 너비, 높이 변경
2) 조종장치의 형식 변경
3) 수상작업용 건설기계 선체의 형식 변경
26.건설기계 관련기한
1) 면허증 반납기한 : 10일 2) 등록사항 변경 신고기한 : 30일 3) 취득일로부터 등록기한 :2개월
4) 등록말소 후 등록원부 보존기한 : 10년
27. 건설기계 조종중 재산 피해를 입혔을 때 면허효력 정지 : 피해 금액 50만원마다 1일(한도 90일)
예) 200만원 재산피해시 면허정지 4일
28.건설기계 조종 중 인명피해를 입혔을 때 면허 효력 정지
1) 경상 1명마다 5일 2) 중상 1명마다 15일
3) 사망 1명마다 45일 4) 고의로 피해 : 면허취소
29. 음주 건설기계 조종시 처분 기준
1) 0.03%이상 0.08%미만 : 60일 효력 정지
2) 0.08%이상 : 면허취소
3) 약물(마약등 환각물질): 면허취소
30. 정기적성 검사
1) 10년마다 (65세 이상 5년마다)
2) 시력 : 두눈 0.7이상, 각각 0.3이상
3) 청력 : 55데시벨 이상, 시각: 150도 이상
3장 지게차 안전 수칙
1. 지게차작업시 안전수칙
1) 주행시 포크는 약 20~30cm 상승한다.
2) 주차시에는 포크를 완전히 지면에 내려야 한다.
3) 포크를 이용하여 사람을 싣거나 들어올리지 않아야 한다.
4) 화물을 적재하고 경사지를 내려갈 때는 후진으로 운행해야 한다.
2. 지게차의 안전을 위한 적절한 마스트 각도
1) 전경각 : 5~6도 2) 후경각 : 10~12도
3. 지게차 조종레버
1) 리프트 레버 : 포크의 리프팅(상승) 또는 로어링(하강)
2) 틸트 레버 : 마스트의 기울기 조작
3) 전후진 레버 : 전진 또는 후진
4. 지게차 장치 명칭
1) 백레스트 : 지게차의 포크 위에 올라간 화물이 마스트 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짐받이 틀
2) 핑거보드 : 백레스트에 지지되어 포크를 설치한 수평판
3) 카운터 케이트 : 지게차의 엉덩이 부분으로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부분
5. 지게차 종류
1) 로드 스테빌라이져 : 화물을 위에서 눌러주는 압착판을 설치한 지게차
2) 로테이팅 포크 : 포크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는 지게차
3) 힌지드 버킷 : 석탄, 소금, 비료, 모래등 흘러내리기 쉬운 화목을 운반하는데 적합
4) 사이드 클램프 : 좌우로 클램프가 설치되어 솜이나 펄프등 작업에 적합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코리아2025 (6) | 2024.12.23 |
---|---|
데일 카네기의 인간관계론 (0) | 2024.02.15 |
클루지 by 개리 마커스 (0) | 2023.12.19 |
부의 추월차선 by 엠제이 드마코 (2) | 2023.11.24 |
장사의 신 by 우노 다카시 (5) | 2023.11.14 |